비행고도 600m 변경하면 비행원인 기후 영향 59% 줄일 수 있다.
- 지구환경 / 문광주 기자 / 2020-02-14 19:25:12
항공기가 고도를 600m만 변경하면 기후영향 59% 줄여, 항공편의 1.7%만 전환하면 가능.
전 세계적으로 항공 교통은 온실가스 배출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비행기는 대기에서 배기가스를 높게 배출하기 때문에 지상의 배출원보다 기후 영향이 최대 5 배나 크다. 또한, 비행운에서 부유 물질과 수증기는 열 흡수 권운의 형성을 촉진해 온실효과를 강화시킨다.
대기층이 중요하다.
그러나 모든 비행이 오랫동안 구름을 유발하는 비행운을 내뿜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은 몇 분 후에 사라진다. 이 배출가스 줄무늬의 지속적인 변형은 기체가 수증기로 포화 된 특히 차가운 공기층을 통과할 때만 발생한다. 그 후 최대 18시간 동안 보존되고 기후 피해를 주는 응결물질로 바뀔 수 있다.
이론적으로, 중요한 공기층을 피함으로써 기후 효과적인 비행운을 막을 수 있다.
실제로 이 대기층은 상대적으로 얇다.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의 로저 테오(Roger Teoh)와 그의 동료들은 “비행기가 고도를 몇 백 미터 만 바꾸면 우회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문제는 이 공기층의 위치가 지역과 연도 및 시간에 따라 변경되므로 경로의 일부를 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원들은 “넓게 우회하는 전략은 실용적이지 않다”고 말한다.
항공편의 2%가 비행운 80% 배출량 차지.
그러나 테오(Teoh)와 그의 팀이 결정한 다른 방법이 있다.
실제로 필요한 높이 조정 비율이 놀라울 정도로 낮기 때문이다.
일본의 영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에 따르면, 모든 항공편의 2.2%가 기후에 민감한 비행운의 80%를 차지한다. 그것도 늦은 오후와 상반기에 특히 빈번한 비행이었다.
그러나 연구원들은 “이러한 비행을 선택적으로 변경하기만 한다면 전 세계 비행운의 기후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기술적인 변화 없이 항공 교통 중단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으로 이 측정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테스트했다. 그들은 일상적인 비행이 응축된 공기층을 피하기 위해 600미터 위 또는 그 아래로 일본 공역 상공을 비행하게 했다.
비행운의 59% 감소
모든 비행의 1.7 %만 높이를 조정하면 비행운으로 인한 기후 영향을 59% 줄일 수 있었다. 야간 비행만을 노선에서 우회한 경우에도 여전히 기후 영향이 21.2 % 감소할 것이라고 연구원들은 밝혔다. 테오와 그의 동료들은 “이를 수행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비행기를 여름에는 더 낮은 고도로, 겨울에는 더 높은 고도로 방향을 바꾸는 것이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이 있다.
특히 비행기가 더 낮은 고도에서 비행하면 더 큰 공기 저항에 노출된다.
결과적으로 더 많은 연료를 소비하고 더 많은 CO2를 배출하데 된다. 그러나 연구자들이 보고 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 된 높이 조정의 경우 이러한 추가 소비는 매우 낮았다. 1.7% 우회 비행의 경우, 연료 소비는 0.014 % 만 증가했다.
테오의 동료 마크 스테틀러(Marc Stettler)는 “고도 조정으로 인해 추가 CO2를 배출하지 않는 항공기들만 방향을 바꾸더라도 비행운 기후 영향을 20% 줄일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보다 기후 친화적인 비행을 향한 첫걸음
연구원들에 따르면, 이 조치는 항공 교통의 유해한 기후 영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줄이기 위한 빠르고 비교적 간단한 전략일 것이다. 테오와 그의 팀이 설명하듯이, 깨끗하고 매연이 적은 엔진으로 항공기를 개조하는 것과 이것을 결합하면 온실효과가 있는 비행운의 90%를 막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공기가 케로신-연소 가스를 내뿜는 문제는 남아 있다.
이를 줄이기 위해 연구원들은 이미 바이오 기반 연료 및 전기 드라이브에서 연료전지에 이르기까지 추진 연료를 연구하고 있다.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2020; doi: 10.1021/acs.est.9b05608)
참고 : Imperial Colleage Londen
항공운항, 고도 변경으로 온실가스 배출 약 60% 줄일 수 있다.
항공운항은 작은 조치만으로 환경친화적이 될 수 있다.
몇 항공기가 고도를 600m만 변경해도 충분할 것이다. 이렇게 비행하면 가장 강하고 기후에 영향을 주는 비행운 생성 대기층을 우회할 수 있다. 항공편의 1.7%만 전환하면 이 기후 영향을 59%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연구 결과다.
![]() |
▲ Image by Txemi López from Pixabay |
전 세계적으로 항공 교통은 온실가스 배출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비행기는 대기에서 배기가스를 높게 배출하기 때문에 지상의 배출원보다 기후 영향이 최대 5 배나 크다. 또한, 비행운에서 부유 물질과 수증기는 열 흡수 권운의 형성을 촉진해 온실효과를 강화시킨다.
대기층이 중요하다.
그러나 모든 비행이 오랫동안 구름을 유발하는 비행운을 내뿜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은 몇 분 후에 사라진다. 이 배출가스 줄무늬의 지속적인 변형은 기체가 수증기로 포화 된 특히 차가운 공기층을 통과할 때만 발생한다. 그 후 최대 18시간 동안 보존되고 기후 피해를 주는 응결물질로 바뀔 수 있다.
이론적으로, 중요한 공기층을 피함으로써 기후 효과적인 비행운을 막을 수 있다.
실제로 이 대기층은 상대적으로 얇다.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의 로저 테오(Roger Teoh)와 그의 동료들은 “비행기가 고도를 몇 백 미터 만 바꾸면 우회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문제는 이 공기층의 위치가 지역과 연도 및 시간에 따라 변경되므로 경로의 일부를 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원들은 “넓게 우회하는 전략은 실용적이지 않다”고 말한다.
항공편의 2%가 비행운 80% 배출량 차지.
그러나 테오(Teoh)와 그의 팀이 결정한 다른 방법이 있다.
실제로 필요한 높이 조정 비율이 놀라울 정도로 낮기 때문이다.
일본의 영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에 따르면, 모든 항공편의 2.2%가 기후에 민감한 비행운의 80%를 차지한다. 그것도 늦은 오후와 상반기에 특히 빈번한 비행이었다.
그러나 연구원들은 “이러한 비행을 선택적으로 변경하기만 한다면 전 세계 비행운의 기후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기술적인 변화 없이 항공 교통 중단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으로 이 측정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테스트했다. 그들은 일상적인 비행이 응축된 공기층을 피하기 위해 600미터 위 또는 그 아래로 일본 공역 상공을 비행하게 했다.
![]() |
▲ Image by Alfons Schüler from Pixabay |
비행운의 59% 감소
모든 비행의 1.7 %만 높이를 조정하면 비행운으로 인한 기후 영향을 59% 줄일 수 있었다. 야간 비행만을 노선에서 우회한 경우에도 여전히 기후 영향이 21.2 % 감소할 것이라고 연구원들은 밝혔다. 테오와 그의 동료들은 “이를 수행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비행기를 여름에는 더 낮은 고도로, 겨울에는 더 높은 고도로 방향을 바꾸는 것이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이 있다.
특히 비행기가 더 낮은 고도에서 비행하면 더 큰 공기 저항에 노출된다.
결과적으로 더 많은 연료를 소비하고 더 많은 CO2를 배출하데 된다. 그러나 연구자들이 보고 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 된 높이 조정의 경우 이러한 추가 소비는 매우 낮았다. 1.7% 우회 비행의 경우, 연료 소비는 0.014 % 만 증가했다.
테오의 동료 마크 스테틀러(Marc Stettler)는 “고도 조정으로 인해 추가 CO2를 배출하지 않는 항공기들만 방향을 바꾸더라도 비행운 기후 영향을 20% 줄일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보다 기후 친화적인 비행을 향한 첫걸음
연구원들에 따르면, 이 조치는 항공 교통의 유해한 기후 영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줄이기 위한 빠르고 비교적 간단한 전략일 것이다. 테오와 그의 팀이 설명하듯이, 깨끗하고 매연이 적은 엔진으로 항공기를 개조하는 것과 이것을 결합하면 온실효과가 있는 비행운의 90%를 막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공기가 케로신-연소 가스를 내뿜는 문제는 남아 있다.
이를 줄이기 위해 연구원들은 이미 바이오 기반 연료 및 전기 드라이브에서 연료전지에 이르기까지 추진 연료를 연구하고 있다.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2020; doi: 10.1021/acs.est.9b05608)
참고 : Imperial Colleage Londen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