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대륙 가장 큰 빙하, 연간 45미터씩 줄어들고 있다.

지구환경 / 문광주 기자 / 2020-04-12 21:42:22
(읽기 3분)
덴만 빙하(Denman Glacier)는 매년 45m씩 줄어들어.
1979년 이후 Denman Glacier는 2,670억 톤의 얼음을 잃었다.
레이더 간섭법을 사용해 지난 40년간 위성데이터 분석.
이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 1.5미터 상승 될 것.

남극 대륙에서 가장 큰 빙하, 연간 45미터씩 줄어들고 있다.
지구상 가장 깊은 협곡을 통과하는 빙하가 예상보다 빠르게 해동된다.
 
남극 대륙에서 가장 큰 빙하 중 하나가 놀랍도록 빠르게 녹고 있다.
덴만 빙하(Denman Glacier)는 매년 45m씩 줄어드는 속도로 더 따뜻한 서남극만큼 녹는다. 이 빙하의 서쪽 지역은 지구상 가장 깊은 협곡 위에 있기 때문에 따뜻한 바닷물이 기준선까지 흐른다. 연구원들의 보고에 따르면 빙하의 후퇴 속도가 빨라지고 돌이킬 수 없는 해동이 발생할 수 있다.

▲ 덴만 빙하(Denman Glacier)는 남극 대륙에서 가장 큰 빙하 중 하나이다.

해동시 해수면이 1.50 미터 올라갈 수 있다. © NASA


서남극은 기후 변화로 인해 빠르게 얼음을 잃고 있는 반면, 더 춥고 높은 고도에 있어서 동쪽 남극 대륙은 오랫동안 비교적 안정된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얼음 손실이 가속화되었다는 증거가 많아지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연쇄 반응으로 인해 전체 빙상이 미끄러질 수도 있다.

가장 큰 빙하, 가장 깊은 협곡

남극 대륙에서 가장 큰 빙하 중 하나는 길이가 약 130km, 폭이 약 20km인 덴만 빙하(Denman Glacier)다. 얼음의 양이 너무 커서 완전히 해동하면 지구 해수면이 1.50 미터 높아질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9년 말 레이더 측정에 따르면 지구에서 가장 깊은 협곡은 이 빙하의 서쪽 아래에 있으며, 3,500 미터 깊이의 가파르고 좁은 협곡이다.

그러나 Denman Glacier가 기후 변화에 반응하는 방식은 지금까지 부분적으로만 알려져 있다. 이것이 NASA의 제트 추진 연구소(Jet Propulsion Laboratory)의 버지니아 브란카토(Virginia Brancato)와 동료들이 지난 40년간 빙하의 행동과 제상 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여러 레이더 위성의 데이터를 사용한 이유다.
또한 레이더 간섭법을 사용해 빙하의 지면이 변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지역은 빙하가 융기하고 유영을 시작하는 곳이다.

1979년 이래 2,680억 톤의 얼음 손실

이 데이터에 따르면 1979년 이후 Denman Glacier는 2,670억 톤의 얼음을 잃었다.
최근 몇 년 동안 흐르는 빙하의 두께가 상당히 감소했다. 지난 20년 동안 빙하 전선은 5km 이상 퇴각했다. Brancato의 동료 에릭 리그넛(Eric Rignot)은 “동남극은 오랫동안 위험이 덜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제는 이 지역의 빙상이 잠재적으로 불안정하다는 것을 알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것은 또한 Denman 빙하의 기준을 살펴보면 확인할 수 있다.
매년 10~20미터의 얼음을 잃어서 계속 줄어들고 있다. 빙붕의 가장자리는 일 년에 약 45미터 정도 줄어들고 있다.
연구진은 “이러한 해동 속도는 남극 대륙의 다른 빙붕에 비해 매우 높다”고 밝혔다. "그들은 아문젠해(Amundsensee) 해안과 같이 서남극의 따뜻한 지역에서 관찰된 것과 비교할 수 있다."

▲ Denman 빙하 아래 지하의 지형 © NASA


협곡은 온수 유입을 촉진

기준선 철수는 매우 비대칭적이다. 빙하의 동쪽은 빙하 융해에 의해 안정화되는 반면, 빙하의 서쪽은 미끄러지고 있다. 내륙의 얼음 덩어리는 3,500 미터 깊이의 협곡에 놓여 있기 때문에이 협곡은 바다를 향한 깊은 도랑으로 계속 이어진다. 이 지역 지구(地溝, graben 두 단층이 만나 내려간 부분) 기울기는 역행적이다. 연구원들은 “우리가 아는 한 이 슬로프 구성은 남극 대륙에서 독특하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 지하의 거꾸로 내려가는 기울기때문에 따뜻한 물이 바다에서 빙하 아래의 깊은 곳으로 흐르고 빙하를 아래에서 해동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Brancato와 동료들은 얼음 선반에서 연간 45미터의 녹는 속도가 이미 진행 중임을 시사한다. 또한, 빙하 층에는 얼음 흐름의 후퇴를 멈추거나 늦출 수 있는 융기부나 긴 뼈대가 없는 것 같다.

"돌이킬 수 없는 퇴각 가능성"

Brancato는 “Denman Glacier 아래의 지하 표면의 형태로 인해 신속하고 돌이킬 수 없는 퇴각의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앞으로 상당한 해수면 상승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앞으로 이 지역과 다른 지역을 보다 면밀히 모니터링 해야할 필요가 있다.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020; doi: 10.1029/2019GL086291)
출처: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