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란드 빙하 녹는 속도 최악의 시나리오 보다 더 나쁘다.
- 지구환경 / 문광주 기자 / 2020-11-18 19:59:24
(3분 읽기)
그린란드 빙하 1880년 이후 8.1mm 상승에 기여.
대형 빙하 3개 녹으면 9.1-14.9mm 까지 수위 높아져. 2100년 예상치 이미 도달.
그린란드는 지구상에서 두 번째로 큰 얼음 저장고이다. 기후와 해수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측정 결과 그린란드의 빙하가 훨씬 더 빨리 녹고 있다는 것이 오랫동안 관측됐다.
얼음이 사라지는 중에 이미 첫 번째 티핑 포인트가 초과됐을 수도 있다.
그 결과, 점점 더 많은 용융수가 바다로 흘러들어 해수면이 올라간다.
그린란드가 이 해수면 상승에 어떤 기여를 할 것인지, 미래에 어떻게 발전할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RCP8.5, 즉 지구 온난화 3.7도, 북극의 기온 상승이 약 8도 상승하는 것인 IPCC의 최악의 시나리오에 따르면 그린란드에서 가장 큰 3개의 빙하의 녹은 물만으로도 해수면을 9.1~14.9mm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거대 빙하 세 개
덴마크 공과대학의 슈파카트 칸(Shfaqat Khan)과 그의 동료들은 최근 이 예측이 여전히 정확한지 확인했다. 이를 위해 1880년부터 2012년까지의 기간 동안 야콥스하븐(Jakobshavn) 이스브라에(Isbrae), 헬하임(Helheim) 그리고 캉거루수아크(Kangerlussuaq) 빙하에 대한 역사적 항공 사진과 측정 데이터를 평가했다.
이로부터 빙하의 두께와 길이의 변화를 결정하고 여기에서 흘러나온 녹은 물의 양을 결정했다.
Khan은 "이 세 개 큰 빙하의 집수 면적은 전체 그린란드 빙상의 약 12%에 해당한다. 따라서 그들은 크고 대표적인 부분을 형성한다"고 설명한다. "이들 빙하의 얼음 손실로 우리는 나머지 그린란드와 북극의 상황을 파악하는데 매우 좋은 통찰력을 가질수 있고 미래가 어떻게 될지 알수 있다.”
예상보다 큰 얼음 손실
평가 결과 :
1880년 이후 100년 동안 세 개의 그린란드 빙하는 약 3천 기가 톤의 얼음을 잃었다.
특히 Jakobshavn Isbrae와 Kangerlussuaq Glacier는 이 기간 수십 킬로미터를 빙하 면적이 후퇴하고 해빙을 가속화했다. 이 빙하의 바닥이 내륙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이제 따뜻한 바닷물이 바닥으로 점점 더 많이 유입될 수 있다.
헬하임 빙하는 1880년 이후로 매우 적게 얼음을 잃었다. 이에 대한 주된 이유는 Khan과 그의 팀이 보고한 것처럼 육지로 상승하는 판이 얼음 흐름을 중지시키고 안정화시키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이 빙하는 더 천천히 바다로 흘러 들어가고 얼음 바닥도 따뜻한 바닷물에 노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얼음은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녹았다.
수위가 이미 8.1mm 증가
이것은 해수면에 영향을 미친다.
연구원들이 발견한 바와 같이 이 세 개의 큰 그린란드 빙하는 1880년 이후 해수면 상승에 약 8.1mm를 기여했다.
Khan은 "이 증가는 2100년 최악의 시나리오와 거의 일치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IPCC의 이 미래 시나리오는 그린란드의 온도가 이를 위해 약 8~9도 상승해야 한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대신 이 값은 지역을 1.5도 따듯하게 만들었다.
연구자들에 따르면 이것은 그린란드 빙상이 몇 년 전에 가정했던 것보다 온난화에 더 민감하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우리는 지구 온도의 작은 변화조차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여기서 볼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했다. "분명히 현재의 모델은 이러한 빙하의 최악의 경우 얼음 손실을 과소평가하고 있으며 이는 그린란드의 나머지 지역에도 적용될 것이다."
좋지 않은 전망
이것은 미래에 대한 좋은 전망이 아니다.
“우리가 100년을 미래로 보고 그린란드에서 8~9도의 온난화 예측 시나리오를 가정한다면, 이 빙하로 인한 해수면 상승은 예상보다 3~4배 높을 수 있다고 "칸이 말했다. "우리의 의견으로는 새로운 발견에 따라 모델을 업데이트하고 조정해야 한다.”
(Nature Communications, 2020; doi : 10.1038 / s41467-020-19580-5)
출처 :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그린란드 빙하 1880년 이후 8.1mm 상승에 기여.
대형 빙하 3개 녹으면 9.1-14.9mm 까지 수위 높아져. 2100년 예상치 이미 도달.
그린란드 빙하 녹는 속도 최악의 시나리오 보다 더 나쁘다.
그린란드의 빙하로 인한 레벨 상승은 이미 2100년의 수치에 거의 도달했다.
최악의 시나리오보다 더 나쁘다 :
한 연구에 따르면, 그린란드의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이미 2100년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된 값에 근접하고 있다. 그린란드에서 가장 큰 3개의 빙하는 1880년 이래 해수면 상승에 8.1mm를 기여했고 지역 온난화에는 1.5도를 더했다.
연구자들이 전문 저널 "Nature Communications"에 보고한 것처럼 이러한 증가는 8도 정도의 온난화에 대해서만 예측되었다.
![]() |
▲ 그린란드의 Jakobshavn Isbræ 앞에서 얼음이 깨졌다. 이 빙하는 북극 섬에서 가장 큰 3대 빙하 중 하나이며 해빙은 해수면 상승에 상당한 기여를 한다. © Nature press / Nicolaj Krog Larsen |
그린란드는 지구상에서 두 번째로 큰 얼음 저장고이다. 기후와 해수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측정 결과 그린란드의 빙하가 훨씬 더 빨리 녹고 있다는 것이 오랫동안 관측됐다.
얼음이 사라지는 중에 이미 첫 번째 티핑 포인트가 초과됐을 수도 있다.
그 결과, 점점 더 많은 용융수가 바다로 흘러들어 해수면이 올라간다.
그린란드가 이 해수면 상승에 어떤 기여를 할 것인지, 미래에 어떻게 발전할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RCP8.5, 즉 지구 온난화 3.7도, 북극의 기온 상승이 약 8도 상승하는 것인 IPCC의 최악의 시나리오에 따르면 그린란드에서 가장 큰 3개의 빙하의 녹은 물만으로도 해수면을 9.1~14.9mm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거대 빙하 세 개
덴마크 공과대학의 슈파카트 칸(Shfaqat Khan)과 그의 동료들은 최근 이 예측이 여전히 정확한지 확인했다. 이를 위해 1880년부터 2012년까지의 기간 동안 야콥스하븐(Jakobshavn) 이스브라에(Isbrae), 헬하임(Helheim) 그리고 캉거루수아크(Kangerlussuaq) 빙하에 대한 역사적 항공 사진과 측정 데이터를 평가했다.
이로부터 빙하의 두께와 길이의 변화를 결정하고 여기에서 흘러나온 녹은 물의 양을 결정했다.
Khan은 "이 세 개 큰 빙하의 집수 면적은 전체 그린란드 빙상의 약 12%에 해당한다. 따라서 그들은 크고 대표적인 부분을 형성한다"고 설명한다. "이들 빙하의 얼음 손실로 우리는 나머지 그린란드와 북극의 상황을 파악하는데 매우 좋은 통찰력을 가질수 있고 미래가 어떻게 될지 알수 있다.”
![]() |
▲ 3 개의 빙하 Jakobshavn Isbræ, Kangerlussuaq 및 Helheim의 후퇴 (왼쪽) 및 바닥 지형. © Khan et al. / Nature Communications, CC-by-sa 4.0 |
예상보다 큰 얼음 손실
평가 결과 :
1880년 이후 100년 동안 세 개의 그린란드 빙하는 약 3천 기가 톤의 얼음을 잃었다.
특히 Jakobshavn Isbrae와 Kangerlussuaq Glacier는 이 기간 수십 킬로미터를 빙하 면적이 후퇴하고 해빙을 가속화했다. 이 빙하의 바닥이 내륙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이제 따뜻한 바닷물이 바닥으로 점점 더 많이 유입될 수 있다.
헬하임 빙하는 1880년 이후로 매우 적게 얼음을 잃었다. 이에 대한 주된 이유는 Khan과 그의 팀이 보고한 것처럼 육지로 상승하는 판이 얼음 흐름을 중지시키고 안정화시키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이 빙하는 더 천천히 바다로 흘러 들어가고 얼음 바닥도 따뜻한 바닷물에 노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얼음은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녹았다.
수위가 이미 8.1mm 증가
이것은 해수면에 영향을 미친다.
연구원들이 발견한 바와 같이 이 세 개의 큰 그린란드 빙하는 1880년 이후 해수면 상승에 약 8.1mm를 기여했다.
Khan은 "이 증가는 2100년 최악의 시나리오와 거의 일치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IPCC의 이 미래 시나리오는 그린란드의 온도가 이를 위해 약 8~9도 상승해야 한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대신 이 값은 지역을 1.5도 따듯하게 만들었다.
![]() |
▲ 1875 년, 1902 년, 1913 년, 1931 년, 1946 년, 1959 년, 1964 년, 1987 년, 2002 년 및 2012 년 Jakobshavn Isbræ의 후퇴 및 지표 고도. |
연구자들에 따르면 이것은 그린란드 빙상이 몇 년 전에 가정했던 것보다 온난화에 더 민감하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우리는 지구 온도의 작은 변화조차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여기서 볼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했다. "분명히 현재의 모델은 이러한 빙하의 최악의 경우 얼음 손실을 과소평가하고 있으며 이는 그린란드의 나머지 지역에도 적용될 것이다."
좋지 않은 전망
이것은 미래에 대한 좋은 전망이 아니다.
“우리가 100년을 미래로 보고 그린란드에서 8~9도의 온난화 예측 시나리오를 가정한다면, 이 빙하로 인한 해수면 상승은 예상보다 3~4배 높을 수 있다고 "칸이 말했다. "우리의 의견으로는 새로운 발견에 따라 모델을 업데이트하고 조정해야 한다.”
(Nature Communications, 2020; doi : 10.1038 / s41467-020-19580-5)
출처 :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Green Soul, Beautiful Nature"
[ⓒ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