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D,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방지와 증세 완화에 효과
- 건강의학 / 문광주 기자 / 2020-09-29 15:47:47
3분 읽기
테헤란 의대 235명 환자 조사 진행.
혈액에 충분한 비타민 D가 있는 환자 염증 수준이 현저히 낮아.
비타민 D의 적절한 공급이 환자 면역 기능을 향상시켜.
비타민D 결핍 환자 사망률 2배 이상 높아.
비타민 D는 뼈와 신경 기능을 구축하는 데 뿐만 아니라 감염을 예방하는 데에도 중요하다. 이 분자는 특정 면역 세포에 작용하여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병원체에 대한 방어를 지원한다. 특히 고령자들은 종종 비타민 D결핍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은 일 년 중 밤이 긴 계절에도 공급이 부족하다.
독일 로버트코흐연구소(RKI)에 따르면 독일 성인의 약 15%가 혈중 비타민이 밀리리터당 30나노그램 미만인 비타민 D결핍을 갖고 있으며, 40%는 약간 부족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건강영양조사(2014)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혈중 비타민D 농도를 측정한 결과 72%가 기준치(20ng/ml)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비타민 D가 Covid-19에서도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테헤란 의과 대학의 즈힐라 마그흐불리(Zhila Maghbooli)와 동료들은 235명의 Covid-19 환자의 비타민 D값과 질병 진행을 조사했다.
환자들은 20세에서 90세 사이였으며 전형적인 증상으로 입원했다.
합병증 감소 및 사망 감소
밀리리터당 30나노그램 미만의 비타민 D결핍을 가진 Covid-19 환자는 평균적으로 더 심각하게 아팠다. 그들은 산소 부족으로 더 자주 고통을 받았으며 혈액의 심한 염증 과정에 대한 더 많은 바이오 마커를 가졌다. 연구진은 "비타민 D를 충분히 공급받은 40세 이상의 환자 중 9.7 %만이 사망했으며 비타민 D결핍 환자의 경우 20%였다"고 보고했다.
반면에 충분한 양의 비타민 D는 SARS-CoV-2 감염 차단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Maghbooli와 그녀의 팀은 "혈액에 충분한 비타민 D가 있는 환자는 염증 수준이 현저히 낮았고 혈액 내 림프구 수가 더 많았다"고 말한다. "이것은 비타민 D의 적절한 공급이 이들 환자의 면역 기능을 향상시켰음을 나타낸다.“
비타민은 병원균에 대한 방어를 촉진한다.
연구자들에 따르면 이러한 결과는 이미 알려진 비타민의 면역 조절 역할과 잘 맞는다.
따라서 면역계의 대 식세포에 있는 비타민은 항바이러스 효과도 있는 데펜신과 카텔리시딘과 같은 항균 펩타이드의 방출을 촉진한다. 비타민 D는 또한 인터루킨-6 및 인터페론 감마와 같은 염증성 메신저를 생성하는 면역 세포를 억제한다.
"우리의 연구는 이제 비타민 D의 적절한 공급이 사이토카인 폭풍과 궁극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사망을 포함한 Covid-19의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제공한다"라고 Boston University의 공동 저자 미첼 홀릭(Michael Holick)이 설명했다.
공급 부족시 비타민 D 섭취 권장
따라서 연구원들은 모든 사람에게 비타민 D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비타민을 식이 보충제로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 "비타민 D 결핍은 어린이와 성인, 특히 겨울철에 널리 퍼져 있기 때문에 비타민 D를 복용하여 SARS-CoV-2 코로나바이러스 및 심한 Covid-19 감염 위험을 줄이는 것이 합리적이다"고 Holick은 말했다.
어쨌든 “많은 도움이 많이 된다”는 표현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미 충분한 비타민 D수준이 밀리리터당 50나노그램 이상인 사람들에게는 아마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비타민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메스꺼움, 넘어지는 경향 증가, 신장 손상 또는 의식 상실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PLOS ONE, 2020; doi : 10.1371 / journal.pone.0239799)
출처 : Bos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테헤란 의대 235명 환자 조사 진행.
혈액에 충분한 비타민 D가 있는 환자 염증 수준이 현저히 낮아.
비타민 D의 적절한 공급이 환자 면역 기능을 향상시켜.
비타민D 결핍 환자 사망률 2배 이상 높아.
코로나, 비타민 D는 Covid-19를 완화시킬 수 있다.
적절한 비타민 D공급은 사망 위험과 Covid-19의 심각성을 낮춘다.
감염 방지에 도움 :
충분한 양의 비타민 D는 Covid-19의 경미한 경과에 기여할 수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혈액에 비타민 D가 밀리리터당 30나노그램 이상인 Covid 환자는 산소 결핍, 과도한 면역 반응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으며 코로나바이러스로 사망할 가능성도 적다.
특히 고령자들은 비타민 D를 적절하게 공급받아야 한다.
![]() |
▲ 비타민 D는 SARS-CoV-2에 대한 병원체의 면역 방어를 강화한다. |
비타민 D는 뼈와 신경 기능을 구축하는 데 뿐만 아니라 감염을 예방하는 데에도 중요하다. 이 분자는 특정 면역 세포에 작용하여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병원체에 대한 방어를 지원한다. 특히 고령자들은 종종 비타민 D결핍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은 일 년 중 밤이 긴 계절에도 공급이 부족하다.
독일 로버트코흐연구소(RKI)에 따르면 독일 성인의 약 15%가 혈중 비타민이 밀리리터당 30나노그램 미만인 비타민 D결핍을 갖고 있으며, 40%는 약간 부족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건강영양조사(2014)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혈중 비타민D 농도를 측정한 결과 72%가 기준치(20ng/ml)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비타민 D가 Covid-19에서도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테헤란 의과 대학의 즈힐라 마그흐불리(Zhila Maghbooli)와 동료들은 235명의 Covid-19 환자의 비타민 D값과 질병 진행을 조사했다.
환자들은 20세에서 90세 사이였으며 전형적인 증상으로 입원했다.
합병증 감소 및 사망 감소
밀리리터당 30나노그램 미만의 비타민 D결핍을 가진 Covid-19 환자는 평균적으로 더 심각하게 아팠다. 그들은 산소 부족으로 더 자주 고통을 받았으며 혈액의 심한 염증 과정에 대한 더 많은 바이오 마커를 가졌다. 연구진은 "비타민 D를 충분히 공급받은 40세 이상의 환자 중 9.7 %만이 사망했으며 비타민 D결핍 환자의 경우 20%였다"고 보고했다.
반면에 충분한 양의 비타민 D는 SARS-CoV-2 감염 차단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Maghbooli와 그녀의 팀은 "혈액에 충분한 비타민 D가 있는 환자는 염증 수준이 현저히 낮았고 혈액 내 림프구 수가 더 많았다"고 말한다. "이것은 비타민 D의 적절한 공급이 이들 환자의 면역 기능을 향상시켰음을 나타낸다.“
비타민은 병원균에 대한 방어를 촉진한다.
연구자들에 따르면 이러한 결과는 이미 알려진 비타민의 면역 조절 역할과 잘 맞는다.
따라서 면역계의 대 식세포에 있는 비타민은 항바이러스 효과도 있는 데펜신과 카텔리시딘과 같은 항균 펩타이드의 방출을 촉진한다. 비타민 D는 또한 인터루킨-6 및 인터페론 감마와 같은 염증성 메신저를 생성하는 면역 세포를 억제한다.
![]() |
▲ "혈액에 충분한 비타민 D가 있는 환자는 염증 수준이 현저히 낮았고 혈액 내 림프구 수가 더 많았다" |
"우리의 연구는 이제 비타민 D의 적절한 공급이 사이토카인 폭풍과 궁극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사망을 포함한 Covid-19의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제공한다"라고 Boston University의 공동 저자 미첼 홀릭(Michael Holick)이 설명했다.
공급 부족시 비타민 D 섭취 권장
따라서 연구원들은 모든 사람에게 비타민 D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비타민을 식이 보충제로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 "비타민 D 결핍은 어린이와 성인, 특히 겨울철에 널리 퍼져 있기 때문에 비타민 D를 복용하여 SARS-CoV-2 코로나바이러스 및 심한 Covid-19 감염 위험을 줄이는 것이 합리적이다"고 Holick은 말했다.
어쨌든 “많은 도움이 많이 된다”는 표현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미 충분한 비타민 D수준이 밀리리터당 50나노그램 이상인 사람들에게는 아마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비타민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메스꺼움, 넘어지는 경향 증가, 신장 손상 또는 의식 상실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PLOS ONE, 2020; doi : 10.1371 / journal.pone.0239799)
출처 : Bos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No Science, No Future"
[ⓒ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