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의 일생 환경적 평가; 대변 1톤, 소변 2천 리터 온실가스는 8.2 톤 배출

지구환경 / 문광주 기자 / 2020-08-31 13:46:58
(읽기 3분 40초)
개는 평생동안 자동차 7만3천 킬로미터 운행거리에 해당하는 온실가스 배출.
사료 원료와 거리 청소까지 종하적으로 계산.
개와 고양이 육류 소비로 연간 6400만 톤 이산화탄소 배출.
개의 야외 배설은 수역 부영양화, 토양 산성화에 기여.

개의 일생 환경적 평가, 개 사료, 대소변이 가장 큰 환경 오염을 유발

대변 ​​1톤, 소변 2,000 리터, 이산화탄소 8.2 톤 :
이것은 중형 견의 수명주기에 배출하는 양이다.
인간의 ‘가장 친한 친구’가 죽을 때까지 자동차로 72,800km 거리를 운행했을 때 온실가스를 내뿜는 것을 의미한다. 개 사료의 고기와 동물의 배설물은 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배설물이 환경에 끼치는 영향은 과학자들조차 놀라게 했다.

▲ 개는 일생동안 대변 1톤 소변 2천 리터를 배설한다. 이산화탄소는 8.2톤 배출.


개는 수천 년 동안 인간과 함께 생활해 왔다.
이미 2만 8천 년 전에 그의 조상은 석기 시대 사람들의 쓰레기를 먹었고, 약 1만 5천 전에 가축화가 돼 마침내 늑대를 우리의 반려견으로 바꾸었다. 그 이후로 개는 인간의 ‘가장 친한 친구’, ‘유용한 도우미’, 가장 인기 있는 애완동물이 됐다.
한국에서 애완동물이 천만 마리를 넘은 지 오래다. 독일의 경우에는 개의 숫자만 천만 마리 이상이며 그 추세는 증가하고 있다.

▲  2만 8천 년 전에 개의 조상은 석기 시대 사람들의 쓰레기를 먹었고, 약 1만 5천 전에 가축화가 됐다.

그 이후로 개는 인간의 ‘가장 친한 친구’, ‘유용한 도우미’, 인기 있는 반려동물이 됐다.  

 
이러한 증가는 개의 생태 발자국에 대해 무엇을 의미할까?
그에게도 식품이 필요하며, 그의 밥상에 놓여지기 전에 먼저 생산, 포장 및 운송이 이뤄져야 한다. 또한 개는 육식 동물이므로 환경과 기후에 특히 ‘비싼’ 음식을 섭취한다. 2017년 초에 한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모든 고양이와 개의 육류 소비로 인해 연간 약 6,400만 톤의 CO2가 배출된다.

사료 생산에서 분뇨 처리까지

베를린 공과 대학의 Kim Yavor와 동료들은 최근 개 한 마리가 수명주기 동안 어떤 결과를 낳는지 조사했다. 그들의 계산에는 개 사료의 자원과 원자재, 운송 및 포장, 환경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에서 대변을 위한 비닐 봉지, 거리 청소에 이르기까지 개에게 소변과 대변이 유발하는 생태 학적 비용이 포함됐다. 

▲ 마트에 진열된 개용 건조사료


Yavors의 동료 마티아스 핑크바이너(Matthias Finkbeiner)는 "개 배설물에 대한 물질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배설되는 인, 질소 및 중금속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해당 분석을 의뢰해야 했다."고 설명했다. "인과 질소는 물속의 바람직하지 않은 영양소 증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중금속은 토양 중독에 영향을 준다."
계산의 근거는 약 13년 동안 살았던 약 15kg의 개였다.

자동차로 72,800km 주행과 같은 CO2 배출

그 결과, 평생 동안 집에서 키우는 개는 평균 8.2톤의 CO2를 배출한다.
연구진은 "자동차로 인한 72,800km의 온실가스 배출량 또는 베를린에서 바르셀로나로 향하는 13회 왕복 항공편에서 배출되는 배출량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이것은 모든 개가 연간 630kg의 CO2배출을 담당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에 따르면 매년 모든 사람이 큰 기후 영향없이 배출할 수 있는 2톤과 관련하여 이 630kg의 CO2를 넣으면 모든 개 소유자는 CO2 예산의 거의 1/3이 이미 개에 의해 소비되고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고 Finkbeiner가 말했다.

개 사료가 개가 만든 환경적 부담의 90% 차지

지금까지 가장 큰 생태적 부담은 개가 일생 동안 먹는 약 4,500kg의 개 사료로 인해 발생한다. 조사된 거의 모든 환경 매개 변수에서 이것은 약 90%를 구성한다고 연구원들이 보고했다. 고기 함량이 높기 때문에 개 사료 생산은 기후 변화, 오존 고갈, 스모그, 수역의 부영양화, 토양의 산성화 및 지속 불가능한 토지 사용에 크게 기여 한다.

▲ 애완동물의 야외 배설물은 환경 특히 수질오염의 원인이 된다. 


Finkbeiner는 "산업용 육류 생산이 심판대에 있다면 가장 좋아하는 애완동물 중 하나에게 공급되는 것이 바로 산업적으로 생산된 육류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한다. “개 사료 생산을 위한 육류는 아마도 시골에 있는 유기농 농장이나 고산 초원에서 나온 것이 아닐 것이다. 그것은 알려진 사회적, 생태적 영향을 가진 공장식 농업에서 비롯된다."

대변과 소변은 특히 수역에 해롭다

그러나 개의 배설물이 환경에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개는 일생 동안 약 1톤의 대변과 거의 2천 리터의 소변을 배설하며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Finkbeiner는 “우리는 이 양에 놀랐다”고 말했다.

개의 대소변은 특히 토양과 물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개 배설물은 과잉 거름에 기여하지만 일부 수생 생물에 직접적인 독성 영향을 준다.
연구진은 "개에 의한 과잉 거름은 21,900리터의 맥주를 생산하는 동안 발생하는 것과 일치한다"고 말했다. “물에 대한 생태 독성은 6.5헥타르의 글리포세이트 처리된 밭의 생태 독성을 초과한다.” 

▲ 개 배설물은 과잉 거름에 기여하지만 일부 수생 생물에 직접적인 독성 영향을 준다.


"야외 똥"보다 비닐봉지에 담는 것이 낫다.

흥미롭게도 초원에서 개똥을 치울 때 사용되는 비닐 봉지는 분명히 작은 해다.
“대변용 비닐봉지 생산으로 인한 추가 환경 오염은 대변을 직접 환경에 내놓을 때 발생하는 피해보다 훨씬 적다”고 Yavor는 보고한다. "우리 수치도 그렇게 말한다."

"우리의 연구는 개를 기르는 것과 관련된 환경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려는 첫 번째 시도"라고 과학자들은 말했다. "우리는 집 견이 상당한 생태 발자국을 생성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자동차의 경우와 유사하게 적용된다. 개가 작을수록 생태 균형이 좋아진다.
즉, 닥스 훈트가 도이체 도게(Deutsche Dogge 영어 Great Dane)보다 앞선다. 환경적으로.

(Sustainability, 2020; doi: 10.3390/su12083394)
출처 : Technische Universität Berlin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Green Soul, Beautiful Science"

[ⓒ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