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성이 다가오고 있다!
- 기초과학 / 문광주 기자 / 2023-01-05 11:11:08
2'50" 읽기
- 약간 녹색 빛을 내는 혜성 C/2022 E3(ZTF) 1월 12일 태양에 가장 가까운 궤도에 도달
- 2022년 3월 2일 캘리포니아에 있는 Zwicky Transient Facility의 망원경으로 발견
- 2월 1일에는 지구에 가장 가까운 궤도에 도달.1월 말에 육안으로 관찰 가능
Halley, Lovejoy 또는 C/2020 F3 Neowise: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혜성은 매혹적인 천체 광경을 제공하고 우리 조상을 매료시켰다. 카이퍼 벨트(Kuiper Belt) 또는 오르트 구름(Oort Cloud)의 이 얼음덩어리는 내부 태양계에 접근하면서 가열되고 꼬리와 종종 녹색을 띤 반짝이는 혼란 상태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하나의 태양 궤도에 5만 년
이제 태양계 외부에서 온 이 얼음 전령 중 하나가 다시 우리에게 오고 있다. 장주기 혜성 C/2022 E3(ZTF)는 2022년 3월 2일 캘리포니아에 있는 Zwicky Transient Facility의 망원경으로 발견됐다. 그 시점에서 혜성은 목성의 궤도를 방금 통과했고 여전히 4억 마일이나 떨어져 있었다. 처음에 천문학자들은 그것이 소행성이라고 생각했다. 얼마 후에 물체가 꼬리를 발달시킬 때까지 말이다.
이제 C/2022 E3(ZTF)가 태양을 공전하는 데 약 5만 년이 걸리는 장주기 혜성임이 분명해졌다. 그것의 궤적은 매우 편심하여 행성의 평면에 거의 수직이다. 혜성은 태양으로부터 약 2,800 천문단위 거리에 있는 가장 먼 지점에서 태양으로부터 약 1.1 천문단위 거리에 있는 가장 가까운 지점까지 이 궤도에서 진동한다.
곧 육안이나 쌍안경으로 볼 수 있을 만큼 밝음
그동안 혜성 C/2022 E3(ZTF)는 작은 망원경으로도 잘 보일 정도로 가까이 다가왔다. 그것은 이미 초록빛을 발하는 머리와 노란 먼지 꼬리를 발달시켰다. 약한 이온 꼬리도 보인다. 얼음 덩어리는 1월 내내 Coronet, Boötes, Draco 및 Ursa Minor의 별자리를 통해 빠르게 연속적으로 움직이며 밝기가 꾸준히 증가한다. 1월 12일에 태양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통과한다.
2월 1일에 혜성은 또한 궤적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을 통과할 것이다. 그런 다음 불과 4,200만 킬로미터의 거리에서 우리를 지나쳐 5.5등급의 밝기에 도달할 것이다. 즉, 어두운 곳에서도 육안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 이 혜성은 1월 말 직전에 가장 잘 관찰할 수 있는데, 이때 이미 최대 밝기에 도달해 밤새도록 북극성 근처 하늘에서 높이 빛난다.
2월 중순에 혜성은 더 이상 육안으로 볼 수 없었지만 작은 망원경으로 하늘에서 두 번의 근접 조우를 관찰할 수 있다. 2월 10일/11일에 화성에 가까이 갔다가 2월 15일/16일에 별자리 황소자리의 빛나는 붉은 "눈"인 별 알데바란 바로 옆에 있다.
출처: Max Planck Institute for Astronomy, Sky & Telescope
- 약간 녹색 빛을 내는 혜성 C/2022 E3(ZTF) 1월 12일 태양에 가장 가까운 궤도에 도달
- 2022년 3월 2일 캘리포니아에 있는 Zwicky Transient Facility의 망원경으로 발견
- 2월 1일에는 지구에 가장 가까운 궤도에 도달.1월 말에 육안으로 관찰 가능
혜성이 다가오고 있다!
혜성 C/2022 E3(ZTF)는 1월 말에 육안으로 볼 수도 있다.
연초의 천체 광경:
장주기 혜성이 지구에 접근하고 있으며 1월말에는 육안으로 볼 수도 있다. 약간 녹색 빛을 내는 혜성 C/2022 E3(ZTF)가 1월 12일에 태양에 가장 가까운 궤도에, 2월 1일에는 지구에 가장 가까운 궤도에 도달한다. 4200만 킬로미터의 거리에서 우리를 지나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몇 주 안에 혜성은 밝기가 크게 증가하고 쉽게 관찰할 수 있다.
![]() |
▲ 혜성 C/2022 E3(ZTF)는 2022년 12월 이 이미지에서 여전히 희미하고 작았지만 1월 내내 더 밝아질 것이며 월말까지 육안으로 볼 수도 있다. © Edu INAF/CC-by-sa 2.0 |
Halley, Lovejoy 또는 C/2020 F3 Neowise: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혜성은 매혹적인 천체 광경을 제공하고 우리 조상을 매료시켰다. 카이퍼 벨트(Kuiper Belt) 또는 오르트 구름(Oort Cloud)의 이 얼음덩어리는 내부 태양계에 접근하면서 가열되고 꼬리와 종종 녹색을 띤 반짝이는 혼란 상태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하나의 태양 궤도에 5만 년
이제 태양계 외부에서 온 이 얼음 전령 중 하나가 다시 우리에게 오고 있다. 장주기 혜성 C/2022 E3(ZTF)는 2022년 3월 2일 캘리포니아에 있는 Zwicky Transient Facility의 망원경으로 발견됐다. 그 시점에서 혜성은 목성의 궤도를 방금 통과했고 여전히 4억 마일이나 떨어져 있었다. 처음에 천문학자들은 그것이 소행성이라고 생각했다. 얼마 후에 물체가 꼬리를 발달시킬 때까지 말이다.
![]() |
▲ 혜성 C/2022 E3(ZTF)의 궤도. © NASA/JPL-Caltech |
이제 C/2022 E3(ZTF)가 태양을 공전하는 데 약 5만 년이 걸리는 장주기 혜성임이 분명해졌다. 그것의 궤적은 매우 편심하여 행성의 평면에 거의 수직이다. 혜성은 태양으로부터 약 2,800 천문단위 거리에 있는 가장 먼 지점에서 태양으로부터 약 1.1 천문단위 거리에 있는 가장 가까운 지점까지 이 궤도에서 진동한다.
곧 육안이나 쌍안경으로 볼 수 있을 만큼 밝음
그동안 혜성 C/2022 E3(ZTF)는 작은 망원경으로도 잘 보일 정도로 가까이 다가왔다. 그것은 이미 초록빛을 발하는 머리와 노란 먼지 꼬리를 발달시켰다. 약한 이온 꼬리도 보인다. 얼음 덩어리는 1월 내내 Coronet, Boötes, Draco 및 Ursa Minor의 별자리를 통해 빠르게 연속적으로 움직이며 밝기가 꾸준히 증가한다. 1월 12일에 태양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통과한다.
![]() |
▲ 2023년 1월부터 3월까지 하늘에서 볼 수 있는 혜성 C/2022 E3(ZTF)의 경로. © Sternfreunde e.V. 협회 / www.sternfreunde.de |
2월 1일에 혜성은 또한 궤적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을 통과할 것이다. 그런 다음 불과 4,200만 킬로미터의 거리에서 우리를 지나쳐 5.5등급의 밝기에 도달할 것이다. 즉, 어두운 곳에서도 육안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 이 혜성은 1월 말 직전에 가장 잘 관찰할 수 있는데, 이때 이미 최대 밝기에 도달해 밤새도록 북극성 근처 하늘에서 높이 빛난다.
2월 중순에 혜성은 더 이상 육안으로 볼 수 없었지만 작은 망원경으로 하늘에서 두 번의 근접 조우를 관찰할 수 있다. 2월 10일/11일에 화성에 가까이 갔다가 2월 15일/16일에 별자리 황소자리의 빛나는 붉은 "눈"인 별 알데바란 바로 옆에 있다.
출처: Max Planck Institute for Astronomy, Sky & Telescope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