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 초등학교 휴교, 봉쇄(lockdown)로 어린이 근시 눈에 띄게 증가
- 건강의학 / 문광주 기자 / 2021-01-18 11:00:07
(3분 30초 읽기)
- 통금 시간과 홈 스쿨링으로 야외 활동시간 줄어
- 6-8세 이동 전년도 대비 1.4-3배 악화돼
- 화면 접촉시간 줄이고 야외활동 권장 필요
코로나 전염병과 그 대책은 전 세계 어린이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학교는 2020년 봄부터 몇 달 동안 문을 닫았고 놀이터와 체육 대신 홈 스쿨링이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통금 시간까지 있다.
텐진 대학교 안과병원(Tianjin University Eye Clinic)의 수이한 키안(Xuehan Qian)과 그의 팀은 “이로 인해 실내와 스크린 앞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외부 활동을 줄였다. 중국에서만 2억 2천만 명 이상의 어린이가 몇 달 동안 집에 있었다”고 설명했다.
밖에 있는 것이 중요한 이유
문제는 야외에서 충분한 시간을 보내지 않고 책을 많이 읽거나 컴퓨터 화면에서 작업하는 것이 어린이의 근시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근시는 아이의 안구가 너무 커지고 망막 앞에 가장 선명한 이미지가 생성될 때 발생한다.
안구의 성장은 메신저 물질에 의해 촉진된다.
아이들이 야외에서 운동을 많이 하면 햇빛에 포함된 UVB 방사선이 이 메신저 물질의 방출을 억제한다.
Qian과 그의 팀은 현재 중국 산둥성에 있는 12만3500 명의 학교 아이들의 코로나 봉쇄가 어린이 근시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했다. 그곳에서 초등학생들은 매년 가을 일련의 검진을 통해 근시 검사를 받는다. 이를 통해 연구원들은 최대 5년 동안 결과를 비교할 수 있었다.
근시의 현저한 증가
그 결과 2020년에는 어린이의 근시와 이들 중 비정시 비율이 크게 증가했다.
평균적으로 6-8세 어린이의 시력은 -0.3 디옵터 감소했다.
연구진은 “이것은 2020년에 이 연령대에서 근시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는 의미다. 반면, 9~13세의 경우 눈이 평균 0.1디옵터 정도만 나빠졌다”고 말했다.
연간 근시 비율은 2019년 5.7%에서 2020년 21.5%로 증가했으며, 8세 사이에서는 27.7%에서 37.2%로 증가했다. Qian과 그의 팀은 "2020년 이 연령대의 근시 발생 빈도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의 모든 이전 해보다 훨씬 더 높다"고 말했다. "이러한 변화는 남학생과 여학생, 양안 모두에서 분명했다."
"우려가 현실이 됐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결과가 록다운 및 학교 폐쇄가 어린이의 시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믿는다. "이러한 근시의 상당한 증가는 다른 전년 대비 어떤 비교에서도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원인이 2020년 국내 제한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라고 Qian과 그의 팀은 말했다.
안구가 성장하고 있고 시력이 유연한 어린아이들은 특히 야외 활동 부족으로 인해 심각한 영향을 받는다. 연구진은 "우리가 아는 한, 최소한 6~8세 사이의 어린아이들에게 우려가 맞다는 첫 번째 증거다"고 말했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의 경우, 장기간 가두면 눈이 많이 나빠질 수 있는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화면 시간을 제한하고 야외에서 더 많이 즐기기
과학자들은 모든 부모가 폐쇄 및 학교 휴교 중에도 자녀들이 신선한 공기 속에서 충분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스크린 앞의 시간을 최대한 제한할 것을 권한다.
추가 연구에서 그들은 이제 근시의 악화가 가역적인지 영구적인지 여부와 나이가 많은 어린이의 시력이 계속 발전하는 방식을 조사할 계획이다.
(JAMA Ophthalmology, 2021; doi : 10.1001 / jamaophthalmol. 2020.6239)
출처 : JAMA 안과
- 통금 시간과 홈 스쿨링으로 야외 활동시간 줄어
- 6-8세 이동 전년도 대비 1.4-3배 악화돼
- 화면 접촉시간 줄이고 야외활동 권장 필요
코로나 : 봉쇄를 통한 근시 증가
통금 시간과 홈 스쿨링으로 중국 어린이의 근시 증가
코로나 전염을 차단하기 위해 봉쇄(lockdown;락다운)를 하거나 휴교하는 것은 분명히 어린이의 시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근시가 증가한다.
중국에서 거의 13만 명의 학교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검진에서 이에 대한 증거가 나았다.
이에 따라 6~8세의 시력은 2020년 평균 0.3디옵터로 전년 대비 1.4~3배가 나빠졌다.
그 원인은 야외 활동과 홈 스쿨링을 드물게 하기 때문일 수 있다.
![]() |
▲ 학교 휴교 및 폐쇄는 분명히 아이들의 눈에 좋지 않다. photo:pixabay |
코로나 전염병과 그 대책은 전 세계 어린이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학교는 2020년 봄부터 몇 달 동안 문을 닫았고 놀이터와 체육 대신 홈 스쿨링이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통금 시간까지 있다.
텐진 대학교 안과병원(Tianjin University Eye Clinic)의 수이한 키안(Xuehan Qian)과 그의 팀은 “이로 인해 실내와 스크린 앞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외부 활동을 줄였다. 중국에서만 2억 2천만 명 이상의 어린이가 몇 달 동안 집에 있었다”고 설명했다.
밖에 있는 것이 중요한 이유
문제는 야외에서 충분한 시간을 보내지 않고 책을 많이 읽거나 컴퓨터 화면에서 작업하는 것이 어린이의 근시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근시는 아이의 안구가 너무 커지고 망막 앞에 가장 선명한 이미지가 생성될 때 발생한다.
안구의 성장은 메신저 물질에 의해 촉진된다.
아이들이 야외에서 운동을 많이 하면 햇빛에 포함된 UVB 방사선이 이 메신저 물질의 방출을 억제한다.
Qian과 그의 팀은 현재 중국 산둥성에 있는 12만3500 명의 학교 아이들의 코로나 봉쇄가 어린이 근시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했다. 그곳에서 초등학생들은 매년 가을 일련의 검진을 통해 근시 검사를 받는다. 이를 통해 연구원들은 최대 5년 동안 결과를 비교할 수 있었다.
![]() |
▲ 연구원들이 현재 중국 산둥성에 있는 12만3500 명의 학교 아이들의 코로나 봉쇄가 어린이 근시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했다. |
근시의 현저한 증가
그 결과 2020년에는 어린이의 근시와 이들 중 비정시 비율이 크게 증가했다.
평균적으로 6-8세 어린이의 시력은 -0.3 디옵터 감소했다.
연구진은 “이것은 2020년에 이 연령대에서 근시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는 의미다. 반면, 9~13세의 경우 눈이 평균 0.1디옵터 정도만 나빠졌다”고 말했다.
연간 근시 비율은 2019년 5.7%에서 2020년 21.5%로 증가했으며, 8세 사이에서는 27.7%에서 37.2%로 증가했다. Qian과 그의 팀은 "2020년 이 연령대의 근시 발생 빈도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의 모든 이전 해보다 훨씬 더 높다"고 말했다. "이러한 변화는 남학생과 여학생, 양안 모두에서 분명했다."
![]() |
▲ 그림 2. 스크리닝 기간 중 6 ~ 13 세 초등학생의 평균 구면 등가 굴절 (SER;Spherical Equivalent Refraction) 2020 년에는 전년에 비해 6 ~ 8 세 아동의 SER이 현저히 감소했다. 전반적으로 여아는 남학생보다 근시적인 경향이 있다. 같은 나이에 오른쪽 눈이 왼쪽 눈보다 근시안적인 경향이 있었다. 출처: 관련논문 Progression of Myopia in School-Aged Children After COVID-19 Home Confinement |
"우려가 현실이 됐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결과가 록다운 및 학교 폐쇄가 어린이의 시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믿는다. "이러한 근시의 상당한 증가는 다른 전년 대비 어떤 비교에서도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원인이 2020년 국내 제한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라고 Qian과 그의 팀은 말했다.
안구가 성장하고 있고 시력이 유연한 어린아이들은 특히 야외 활동 부족으로 인해 심각한 영향을 받는다. 연구진은 "우리가 아는 한, 최소한 6~8세 사이의 어린아이들에게 우려가 맞다는 첫 번째 증거다"고 말했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의 경우, 장기간 가두면 눈이 많이 나빠질 수 있는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화면 시간을 제한하고 야외에서 더 많이 즐기기
과학자들은 모든 부모가 폐쇄 및 학교 휴교 중에도 자녀들이 신선한 공기 속에서 충분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스크린 앞의 시간을 최대한 제한할 것을 권한다.
추가 연구에서 그들은 이제 근시의 악화가 가역적인지 영구적인지 여부와 나이가 많은 어린이의 시력이 계속 발전하는 방식을 조사할 계획이다.
(JAMA Ophthalmology, 2021; doi : 10.1001 / jamaophthalmol. 2020.6239)
출처 : JAMA 안과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No Science, No Future"
[ⓒ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