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로 새들이 작아지고 있다.

지구환경 / 문광주 기자 / 2021-11-12 09:33:51
3'30" 읽기
- 베르그만과 알렌의 규칙, 추운 지역 동물 일반적으로 열대지방의 친척보다 크고 콤팩트
- 지난 40년간 77종 1만4000여 마리 새의 몸 크기, 질량, 날개 길이 측정 데이터 평가
- 체질량 감소는 음식 부족으로 인한 것일 수 있으며, 환경 변화의 간접적인 결과

기후 변화로 인해 아마존 새들이 작아지고 있다.
체중이 줄고 날개 길어진 경향이 분명하다.


기후 변화의 생물학적 영향:
아마존 지역에서는 식물이 더워지는 기온과 가뭄에 반응할 뿐만 아니라, 조류도 환경에 적응하느라 변하고 있다. 지난 40년 동안 조사된 모든 아마존 새 종의 몸 크기가 줄어들었다.
일부 종에서는 날개가 질량에 비해 더 길어졌다. 이러한 형태 변화는 다른 동물 종에서도 관찰된 생물학적 적응과 일치한다. "Science Advances" 저널에 발표된 내용이다.  

▲ 아마존 지역에 서식하는 이 회색 개미 부화(Myrmotherula menetriesii)는 지난 40년 동안 더 작아지고 가벼워졌다.

© Cameron Rutt


기후는 종의 분포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동물은 살고 있는 환경 조건에서 크기와 모양을 반영한다. 베르그만과 알렌(Bergmann and Allen)의 규칙에 따르면, 예를 들어 추운 지역의 동물은 일반적으로 열대 지방의 친척보다 크고 콤팩트하다. 이는 환경으로의 열 손실을 줄인다. 반면에 더운 지역에서는 섬세한 모양과 긴 신체 부속물이 통풍을 용이하게 한다.
연구가 보여주듯 이러한 적응을 통해 전 세계의 많은 동물의 모양이 변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더 길어진 날개와 1.8% 더 가벼워진 무게

루이지애나 주립 대학의 Vitek Jirinec와 그의 동료들은 최근 아마존 열대 우림의 조류 세계에서도 눈에 띄는지 조사했다. 그들은 지난 40년간 77종 1만4000여 마리 새들의 몸 크기, 질량, 날개 길이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평가했다. 모든 종은 아마존이 원산지였으며 철새가 아니었다. 즉 새들은 일 년 계속 열대 우림에 머물렀다.
▲ 산림 수직 틈새에 따른 질량:날개 비율 동향. 포인트는 90% 및 95% CI를 나타내는 선으로 그림 1D에 표시된 베이지안 계층적 모델의 두 번째 수준(특성)에서 추정한 중앙값이다. 세 가지 형태학적 메트릭 중 중간층 종에 대한 질량:날개 비율만 95% CI를 가지며 길드 전체에 대해 0과 겹치지 않는다. 95% CI가 완전히 음수이면 추정치가 주황색, 완전히 양수이면 파란색, 겹치는 0이면 검정색으로 표시된다. 산림 바닥의 완충된 미기후와 비교하여 상층 조건은 일반적으로 더 심각하다. 결과는 모델 16에 해당한다.

평가 결과:
77개의 조사된 모든 종에서 1980년 이후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평균적으로 질량은 1.8% 감소했다. "종의 3분의 1이 이 시기에 더 긴 날개를 발달시켰기 때문에 날개 길이에 대한 질량의 비율이 바뀌었다"고 Jirinec과 그의 팀은 보고했다. 이러한 변화는 이 지역의 평균 기온 상승 및 강수량 감소와 유사함을 보여주었다.

먹이와 관계없음

이러한 형태의 변화는 실제로 아마존 지역의 기후 변화와 연관될까?
"기후 변화는 직접 선택을 일으킬 수 있지만 그러한 미세한 진화를 증명하는 것은 어렵다"고 연구자들은 설명한다. 또한, 체질량 감소는 음식 부족으로 인한 것일 수 있으며, 따라서 환경 변화의 간접적인 결과를 나타낸다.

더 작고 가벼워진 경향이 먹이 및 음식 선호도와 무관하다는 반대 주장도 있다.
식충동물은 과일을 먹는 새 종만큼 영향을 받았지만, 이 그룹의 음식 가용성은 반대 방향으로 발전했다. Jirinec과 그의 동료들은 “아마존 조류 세계의 많은 부분의 몸 크기는 다양성에 관계없이 놀라운 일관성으로 이동했다”고 기술했다.
▲ 많은 아마존 새 종의 날개는 몸에 비해 더 길어졌다. © Cameron Rutt

따뜻해지는 것에 적응

연구팀은 아마존 새들의 변화는 주로 기후 변화로 인한 선택압박 때문이라고 한다.
"신체 비율은 더 효율적인 비행과 더 신진대사적으로 열을 적게 생성하는 것으로 이동했다"고 그들은 설명한다. 이는 증가된 열 부담과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과 일치한다.

Jirinec과 그의 팀은 "계절적 및 장기적 형태학적 변화는 모두 기후 변화에 대한 반응을 암시하므로 지구상에서 가장 큰 열대 우림의 심장부에서도 기후 변화의 심오한 영향이 있다“고 강조했다.
(Science Advances, 2021)
출처: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