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 것을 먹으면 이가 시린 이유
- 건강의학 / 문광주 기자 / 2021-03-31 08:47:58
(3분 30초 읽기)
- 치아 조직에 있는 특별한 세포는 냉 감각 센서 역할
- 이온 채널 TRPC5는 콜드 센서다.
- 치과용 냉 센서의 식별은 이제 과민성 치아와 치통에 대한 치료의 새로운 출발점
- 정향오일(Clove Oil)로 문지르면 통증이 완화된다는 전통요법은 이 수용체 차단 효과 있어
치아는 추위를 어떻게 느끼나?
Zimmermann과 그의 팀은 최근 치아에서 차가운 통증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알아냈다.
피부와 점막의 특정 유형의 이온 채널이 추위에 반응할 수 있는지 초기 연구에서 시작됐다.
TRPC5, TRPA1 및 TRPA8을 포함한 일부 채널의 형태도 치아 조직의 치아 모세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아 모세포의 세포체와 그 신경 말단은 치아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있다"고 Zimmermann은 설명한다.
연구팀은 이러한 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마우스의 반응을 이온 채널이 비활성화된 동물과 비교해 조사했다. 그들은 온전한 마우스 치아의 치아 신경에서 전기 자극을 등록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Erlangen University Hospital의 제1저자 라우라 베르날(Laura Bernal)은 "유리 전극을 사용한 특수 기술을 사용해 일반 마우스와 TRPC5 분자가 없는 마우스를 비교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온 채널 TRPC5는 콜드 센서다.
그 결과 TRPC5 이온 채널이 비활성화된 마우스는 치아의 차가운 자극에 반응하지 않았고 신경도 통증 신호를 뇌에 전달하지 않았다. 이에 따르면 이 센서는 치아의 냉기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온 채널 TRPC5가 차가운 자극을 감지하면 열리고 전기 신경 자극을 유발한다. 그런 다음 이것은 뇌로 전달되어 통증을 유발한다.
오랫동안 찾아온 치아의 냉 감각 센서는 치아의 단단한 물질을 형성하는 세포인 치아 모세포, 상아질 및 치아 법랑질에 있다. 이 세포는 인간에서도 특히 많은 수의 TRPC5 채널을 운반한다. "그들은 상아질의 미세한 관에서 실행되는 과정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서 온도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뇌로 전기적으로 전달하여 고통스러운 반응을 유발한다"고 Zimmermann은 설명했다.
염증이 있는 치아에는 더 많은 냉 센서가 있다.
흥미롭게도 마우스를 사용한 추가 행동 실험에서 TRPC5 수용체가 작동하지 않는 마우스는 치아 염증 후 더이상 치통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팀은 우식증이 있는 사람의 치아에서 특히 많은 수의 TRPC5 수용체를 발견했다.
이것은 염증이 있는 치아가 특히 차가운 자극에 민감한 이유를 설명 할 수 있다.
연구팀이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치과용 냉 센서의 식별은 이제 과민성 치아와 치통에 대한 치료의 새로운 출발점을 열어준다. TRPC5 센서는 정상적인 치과 마취와 마찬가지로 턱 부위의 무감각 및 마비없이 표적 방식으로 차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향유*가 치통에 도움이 되는 이유
*Clove Oil : 정향나무(Syzygium aromaticum)의 꽃봉오리와 열매에서 뽑은 기름. 주성분은 오이제놀이다. 양주, 화장품, 향미료 따위를 만드는 데 쓴다.
과학자들은 치통에 대한 고대 가정 요법의 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도 발견했다.
정향을 씹거나 정향 오일로 문지르면 통증이 완화된다고 한다.
그 이유가 이제 명확해졌다. 정향유의 주성분은 유제놀이며 TRPC5 수용체를 차단한다. (Science Advances, 2021; doi : 10.1126 / sciadv.abf5567)
출처 : Friedrich-Alexander University Erlangen-Nuremberg
- 치아 조직에 있는 특별한 세포는 냉 감각 센서 역할
- 이온 채널 TRPC5는 콜드 센서다.
- 치과용 냉 센서의 식별은 이제 과민성 치아와 치통에 대한 치료의 새로운 출발점
- 정향오일(Clove Oil)로 문지르면 통증이 완화된다는 전통요법은 이 수용체 차단 효과 있어
치아 냉 감각 센서 찾았다.
과민성 치아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에 희망
민감한 세포 :
연구원들이 우리 치아의 차가운 통증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어떻게 그것을 차단할 수 있는지 찾았다. 이에 따르면 치아 조직에 있는 특별한 세포는 냉 감각 센서 역할을 하는 이온 채널을 갖고 있다. 찬 것이 닿아 촉발되면 치아의 전형적인 차가운 통증을 유발한다.
좋은 소식은 이 센서를 특별히 차단하면 치아가 과민한 사람들을 도울 수 있다.
![]() |
▲ 찬 것은 왜 치아를 아프게 할까? |
치아에 염증이 생기거나 치아가 과민해지면 입안의 차가운 자극이 고문이 될 수 있다.
"아이스크림을 좋아하고 민감한 치아를 가진 사람은 누구나 이 문제를 알고 있다. 아이스크림이 치아에 닿자마자 번개가 친다"라고 독일 에어랑엔 대학병원(University Hospital Erlangen)의 카타리나 찜머만(Katharina Zimmermann)은 설명했다.
치아는 추위를 어떻게 느끼나?
Zimmermann과 그의 팀은 최근 치아에서 차가운 통증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알아냈다.
피부와 점막의 특정 유형의 이온 채널이 추위에 반응할 수 있는지 초기 연구에서 시작됐다.
TRPC5, TRPA1 및 TRPA8을 포함한 일부 채널의 형태도 치아 조직의 치아 모세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아 모세포의 세포체와 그 신경 말단은 치아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있다"고 Zimmermann은 설명한다.
연구팀은 이러한 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마우스의 반응을 이온 채널이 비활성화된 동물과 비교해 조사했다. 그들은 온전한 마우스 치아의 치아 신경에서 전기 자극을 등록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Erlangen University Hospital의 제1저자 라우라 베르날(Laura Bernal)은 "유리 전극을 사용한 특수 기술을 사용해 일반 마우스와 TRPC5 분자가 없는 마우스를 비교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 |
▲ 그림 2 새로운 턱 신경 제제에서 마우스 치아 통각 수용기의 세포 외 기록. 출처: 관련 논문 Odontoblast TRPC5 channels signal cold pain in teeth |
이온 채널 TRPC5는 콜드 센서다.
그 결과 TRPC5 이온 채널이 비활성화된 마우스는 치아의 차가운 자극에 반응하지 않았고 신경도 통증 신호를 뇌에 전달하지 않았다. 이에 따르면 이 센서는 치아의 냉기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온 채널 TRPC5가 차가운 자극을 감지하면 열리고 전기 신경 자극을 유발한다. 그런 다음 이것은 뇌로 전달되어 통증을 유발한다.
오랫동안 찾아온 치아의 냉 감각 센서는 치아의 단단한 물질을 형성하는 세포인 치아 모세포, 상아질 및 치아 법랑질에 있다. 이 세포는 인간에서도 특히 많은 수의 TRPC5 채널을 운반한다. "그들은 상아질의 미세한 관에서 실행되는 과정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서 온도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뇌로 전기적으로 전달하여 고통스러운 반응을 유발한다"고 Zimmermann은 설명했다.
염증이 있는 치아에는 더 많은 냉 센서가 있다.
흥미롭게도 마우스를 사용한 추가 행동 실험에서 TRPC5 수용체가 작동하지 않는 마우스는 치아 염증 후 더이상 치통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팀은 우식증이 있는 사람의 치아에서 특히 많은 수의 TRPC5 수용체를 발견했다.
이것은 염증이 있는 치아가 특히 차가운 자극에 민감한 이유를 설명 할 수 있다.
연구팀이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치과용 냉 센서의 식별은 이제 과민성 치아와 치통에 대한 치료의 새로운 출발점을 열어준다. TRPC5 센서는 정상적인 치과 마취와 마찬가지로 턱 부위의 무감각 및 마비없이 표적 방식으로 차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 |
▲ 그림 7 TRPC5 채널은 치아 모세포 층에 있다. (A) 펄프-상아질 경계에서 조밀하게 포장 된 TRPC5 + 치아 모세포가있는 TRPC5 리포터 마우스 어금니 전체 마운트. (B 및 C) 감각 신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녹색, TRPC5; 적색, βIII- 튜 불린; 원은 다음 섹션에서 (D) 및 (E)에 표시된 영역을 나타낸다. cp, 관상 펄프; rp, 방사상 펄프. (E) TRPC5 + odontoblast 프로세스와 감각 신경의 긴밀한 연관성을 시각화하기 위해 전치 방근 펄프를 통한 경사 섹션. 출처: 관련 논문 Odontoblast TRPC5 channels signal cold pain in teeth |
정향유*가 치통에 도움이 되는 이유
*Clove Oil : 정향나무(Syzygium aromaticum)의 꽃봉오리와 열매에서 뽑은 기름. 주성분은 오이제놀이다. 양주, 화장품, 향미료 따위를 만드는 데 쓴다.
과학자들은 치통에 대한 고대 가정 요법의 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도 발견했다.
정향을 씹거나 정향 오일로 문지르면 통증이 완화된다고 한다.
그 이유가 이제 명확해졌다. 정향유의 주성분은 유제놀이며 TRPC5 수용체를 차단한다. (Science Advances, 2021; doi : 10.1126 / sciadv.abf5567)
출처 : Friedrich-Alexander University Erlangen-Nuremberg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